예상대로 중국은 강력반발 했습니다. 외교부 대변인이 나서 "모든 뒷감당은 한국과 미국이 져야한다"고 위협했습니다. <br /> <br /> 그런 가운데 중국은 최근 서해 상에서 기뢰 투하 훈련을 벌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 경제적 보복 조치에 이어 군사적 행동에까지 나서는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 최선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.<br /> <br /> [리포트]<br /> 중국 해군 북해함대 소속 전투기 JH-7A가 기지를 떠나 이륙합니다. <br /> <br /> 북해함대는 우리 해군과 서해를 사이로 마주한 중국의 3대 함대 중 하나. <br /> <br /> 중국은 기뢰 투하 훈련이 서해 상에서 적의 야간 기습을 방어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지만, <br /> <br /> [북해함대 전투기 조종사] <br /> "735호가 기뢰를 떨어뜨릴 곳을 찾고 있다. <br /> <br /> [북해함대 본부] <br /> "좋은 조건이 있다고 판단되면 기뢰를 설치하라" <br /> <br /> 사실상 한국과 미국 해군의 서해 상 진입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입니다. <br /> <br /> 훈련은 전투기가 서해 상으로 진입해 싣고 온 기뢰를 투하하고 기지로 복귀하는 식으로 진행됩니다. <br /> <br /> 기뢰는 바다의 지뢰로도 불리는데, 전투기나 함정으로 투하됩니다. 기뢰는 물속에 있다가 목표물 접근 시 폭발하는 방식으로 상대를 공격합니다. <br /> <br /> 그동안 중국은 서해 상 기뢰 투하훈련을 외부로 공개하지 않았지만, <br /> <br /> 지난해 사드의 한반도 배치 논의가 급물살을 탄 이후 주기적으로 기뢰 투하 훈련을 진행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 전문가들은 중국이 레이더 교란 작전을 벌이거나, 사드 대응 탄도미사일을 전진 배치할 가능성도 제기합니다. <br /> <br /> [김대영 디펜스타임즈 편집위원] <br /> "사드 배치와 관련해서 향후 중국이 군사적인 제재 조치를 꺼내 들 경우 한반도는 그야말로 미중간 갈등의 가운데에 서게 됩니다." <br /> <br /> 중국의 보복 조치가 경제 분야를 넘어 군사 분야로까지 확대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채널A 뉴스 최선입니다. <br /> <br /> 영상편집: 조성빈 <br /> 그래픽: 안규태, 이진